[마크 건축학]2. 재료의 명암과 무게감

Posted by 엑셀서스
2015. 7. 12. 00:10 마크 공략/엑셀세의 건축강좌

자 저번 시간에 간단하게 건물의 점과 선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재료의 명암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엑셀서스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으로는 어두운 재료과 밝은 재료의 무게감 차이가 있겠습니다.


당연하겠지만 어두운 재료는 무거운 느낌을 주고 밝은 재료는 가벼운 느낌을 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에 있어서 아래쪽으로는 무거운 느낌의 어두운 재료를 사용하고

위에서는 그보다 가벼운 느낌을 주는 밝은 재료를 사용하는것이 좋겠지요.


그 반대의 색상으로 사용하게 되면 위에 스샷에서 보이다시피 천장이 무겁고 바닥이 가벼워서 중간에 있는 공간이 작아보이게 됩니다.

실제로 마크에서 해보면 똑같은 3칸높이의 공간이라도 아래가 위보다 밝으면 답답하게 느껴집니다.

물론 천장과 바닥이 똑같은 경우 그 중간정도의 느낌을 주게 됩니다.


이 외에도 밝은 재료의 경우 연약한 느낌이 있기 때문에 작은 건물에 기둥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보통 엑셀서스의 건물을 보면 기둥이 어둡고 면이 밝은 느낌이 많은게 이 이유 때문이지요.

물론 거대한 건물에서는 이 효과가 그 웅장함때문에 많이 상쇄되어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작은 건물에선 특히 신경써주시는게 좋습니다.


건물에 층의 변화에 따라 면에 서로 다른 색상을 주고 싶을때에는 위로 밝은 색상을 주고 아래로 어두운 색상을 주는것이 더 안정적입니다.


그 반대의 색상을 줄 경우 머리가 너무 무거운데 아래는 힘이 없어서 그것을 지탱하지 못할것 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에 위태로워 보이지요.


그런데 반대로 지붕에서는 어두운 색상을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보통 벽면과 달리 위에서 아래로 꾹 눌러주는 느낌으로 얹는 느낌이지요. 무거운 장독대 뚜껑을 닫는것과 비슷합니다.


요약해서 말하면 위로는 밝게 아래로는 어둡게 기둥은 어둡게 지붕도 어둡게가 되겠습니다.

반응형

문명 온라인 테스터 초대URL

Posted by 엑셀서스
2015. 7. 11. 17:02 필자 목록/Excelsus_

https://civ.xlgames.com/event/invitefriends/f_lFeuIMyQwYjObPYx5Ttw

어떤식으로 진행되는건지는 모르겠군요.

초대이벤트로 들어가면 테스터 확정이란 소리도 있고...

반응형

[마크 건축학]1. 점, 선, 면

Posted by 엑셀서스
2015. 7. 11. 01:06 마크 공략/엑셀세의 건축강좌

코블두부는 이제 그만. 엑셀서스가 사용하는 간단한 패턴건축방식과 이론을 사용해 쉽고 가벼운 건물을 지어봅시다.

사실 의외로 엑셀은 마크 건축을 현실의 건축디자인 이론으로 짓습니다. 

그래서 현실에서 자주 보이는 구조물과 흡사한 건물들이 자주 나오지요...


일단 건축의 가장 기본되는 세가지 요소는 점, 선과 면이란걸 알고 가시면 아주 좋습니다.

이중 선과 면이 건축물의 베이스가 되며 점은 장식적인 요소가 되어 부차적인 것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할때는 점보다는 선과 면에 더 신경을 쓰는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면은 사실 코블두부에서부터 시작해서 모두가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따로 다루지 않겠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선과 점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이건 흔히 기본적으로 쓰이고 엑셀이 마크를 처음 시작했을때 짓던 나무와 구운돌을 사용한 패턴인데요

아주 가볍게 나무기둥과 4칸의 돌벽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나무기둥을 적절히 섞어주면 평범한 돌벽보다 훨씬 강한 느낌을 줍니다. 

수직선은 건축디자인학에서 강인함과 권위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건물은 어느정도 강인한 느낌을 가져야 안정적인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여러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경우 층과 층 사이의 면을 수평선으로 나눠줄 경우 안정적인 느낌이 추가됩니다.

마찬가지로 건축디자인학에서는 수평선을 안정감을 나태는 용도로 사용하고 마크내에서도 이것을 동일하게 활용하는것이 좋겠지요.

보통 층수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점점더 건물의 안정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평선이 필수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럼 이제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점은 한개 있을때에는 포인트가 생겨 집중효과를 발휘합니다.

그런데 비대칭 건물은 상당히 고난이도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점을 한개 사용해 집중효과를 주고 싶다면 정 중앙이 제일 좋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홀수가 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겠지요.


점이 두개 이상 모이면 선이 선이 암시됩니다. 즉 크게 봐서는 선처럼 작용하게 되지요.

그런데 주의할 점은 이 점선은 강인한 느낌이 아예 없기 때문에 수직선으로 사용할 때에는 아주 주의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수직선에는 아예 점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통 길바닥 옆에 장식과 같이 수평적인 곳에 화려한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편이지요.


요약해서 수직선은 힘, 수평선은 안정감, 단일점은 집중, 점선은 화려함이라고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