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건축학]5. 광화문과 같은 우진각 지붕 (피라미드 지붕)

Posted by 엑셀서스
2015. 7. 15. 00:10 마크 공략/엑셀세의 건축강좌

자 덤으로 간단한 형식인 우진각 지붕도 한번 살펴보고 지나가겠습니다.

물론 이건 누구나 지을수 있을 정도의 간단한 구조이기에 따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서양 건축물에서는 이런 모양의 지붕을 힙드 지붕이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피라미드처럼 옆면까지 다 감싸면 되는거지요.

그런데 이런 짧은 구조물에는 멋이 없는것 같군요.


모임지붕이라고도 해서 정자같이 모든 면이 동일한 크기를 가졌을때는 쓸만하긴 합니다.


사진출처

현실에서 이런 양식의 지붕을 가진 구조물중에서 가장 유명한것으로는 광화문을 꼽을 수 있겠군요.

광화문도 그렇듯이 좀 더 긴 건물에 적절한 지붕 양식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건물이 길어지면 팔작지붕이 좀 별로가 되거든요.


자 그럼 요약: 한옥이 정사각형이면 모임지붕(피라미드같은) 짧은 직사각형이면 팔작지붕 긴 직사각형이면 우진각 지붕


반응형

[마크 건축학]4. 한옥의 상징 팔작지붕 (한옥 지붕)

Posted by 엑셀서스
2015. 7. 14. 00:10 마크 공략/엑셀세의 건축강좌


자 이번 시간에는 한옥 특유의 상징 지붕스타일인 팔작지붕을 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 혹시 아래부분을 만들줄 모를 사람들을 위해 사진은 남겨두겠습니다.


이런식으로 대충 만들면 됩니다.

사실 좀더 오리지날하게 지으려면 한옥 아래에 주춧돌도 놓고

지면에서 리프팅해가지고 마루를 만들어야겠지만 여러번 반복하면서 짓다보니

위쪽만 잘 지어도 한옥이란걸 구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단걸 발견하게 됬습니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지붕을 건설하는 작업이겠군요.

사실 아직까지는 맞배지붕 건설이랑 큰 차이가 없습니다.


평범하게 끝부분도 맞배지붕 건설기법처럼 잘 다듬어주도록 합니다.


그런다음에 여기가 포인트 되겠지요, 계단을 이용해서 옆을 잘 감싸줍니다.


그런다음에 이 틈을 기와랑 동일한 재질로 채워줍니다.


나머지 부분은 사실 큰 특징이 없습니다만 팁하나 드리자면 계단을 놓을 곳 아래에 블럭을 미리 놔두면 계단을 배치하는게 더 편합니다.


다 완성하면 어느정도 팔작지붕의 윤곽선이 보이는데 무언가 밋밋하지요.

네 화려한 기와집에는 역시 장식이 있어야겠지요.


위에 양끝에 반블럭과 계단을 이용해서 살짝 올려줘서 포인트를 줍니다.


그러면 흔히 보는 그 모양이 완성됩니다.


반응형

[마크 건축학]3. 기본적인 계단지붕 (게이블 지붕, 맞배 지붕)

Posted by 엑셀서스
2015. 7. 13. 00:10 마크 공략/엑셀세의 건축강좌

자 이번에는 유럽식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고 

엑셀서스의 북유럽식 하프팀버 하우스에 사용되기도 했던 기본적인 계단지붕의 건설법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양에서는 게이블 지붕이라고 부르는 형태이지요. 간단하면서도 깔끔해서 특히 초보자들이 만들기 좋다고 봅니다.

한옥 건축양식에는 맞배지붕 혹은 박공 지붕이라고 부르더군요. 물론 한옥하면 팔작! 팔작하면 한옥!

한옥지을때는 4강에서 배울 팔작지붕을 얹는게 더 간지난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먼저 계단을 대각선으로 쭉 놔주고 건물의 벽에서 한칸 튀어나오도록 합니다.

튀어나온 부분은 아래쪽을 부드럽게 만들어서 각진 대각선이 아니라 부드러운 대각선이 되도록 합니다.


그 효과를 위해 계단 아래에는 뒤집어진 계단을 놓습니다.


짝수 건축물의 경우 위에 상태대로라면 그대로 끝나겠지만 홀수 건축물의 경우 중앙라인에 추가로 벽돌블럭 하나와 반블럭 하나를 얹으시면 됩니다.

이것은 양옆에 1.5칸의 지붕 높이를 그대로 유지해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모양을 내기 위함입니다.

이 지붕의 가장 큰 장점은 빛을 놓지 않아도 몹이 스폰되지 않고 눈이 쌓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위에서 잠수타기도 아주 좋아요! 


그 뒤로 건물의 중간부분은 크게 신경쓸 부분이 없습니다.

아랫면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냥 마지막층 천장으로 잘 마감해주면 되는 것이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