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E 뉴크크 10분강좌] - 4편!

Posted by 엑셀서스
2018. 1. 14. 23:51 마크 공략/뉴크크 10분 강좌

저번에 쿨러를 이리 바꾸고 저리 바꿔도 답이 없다고 생각하신 분들을 위한 희망!

 

뉴크크는 너무 오버쿨링에 집착하실 필요 없어요~

 

 

엑셀과 함께 자동 온도 조절장치를 만들어봅시다.

바닐라만 사용해도 만들수 있으므로 프젝레도 필요없어요~

 

준비물은 컴퍼레이터

 

그리고 레드스톤 토치(NOT게이트)와 더스트 몇개.

 

위에 보이는 것처럼 설치하면

 

차가울땐 발전하고

 

뜨거우면 자동으로 꺼집니다!

 

 

. 아, 물론 서버가 렉먹으면 레드스톤 회로가 늦게 작동하기도 하므로 안전거리 충분히 유지하도록 해요~

 

 

 

이제 충분히 튜토리얼도 진행했고 하니, 꽤나 효율좋고 컴팩트한 분열로를 따라 만들어보아요!

 

엑셀서스식 4x4x4 LC 분열로!

고에너지 계통 연료를 쓰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부분은 주의해주셔야 해요!

 

첫 층은 위와 같이 글로스톤 쿨러와 엔더륨, 그리고 그라파이트로 채웁니다.

 

그다음층은 글로스톤쿨러와 그라파이트, 리엑터 셀로

 

다음층도 2층과 동일

 

마지막층은 1층과 동일

 

짜잔, 간단하게 -4000H/t의 쿨링성능을 가지고

 

연료봉 8개를 700%효율로 태우는 작고 값싼 분열로가 만들어졌어요!

SMRE 기준으로 싸구려 LEU235를 태우는데도 907kRF/t나!

반응형

[SMRE 뉴크크 10분강좌] - 3편!

Posted by 엑셀서스
2018. 1. 14. 23:36 마크 공략/뉴크크 10분 강좌

3화를 써봅시다.

 

저번에 기초적인 핵분열로를 만들어봤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설계를 해봅시다.

 

 

핵분열에는 열기가 발생합니다.

 

상세한 UI는 이렇습니다.

누구나 딱보면 알수있게 직관적으로 만들어져있으니 별로 중요하진 않아요.

 

그거보단 아래쪽, 다 영어로 되어있던거라 알아듣기 힘드셨죠?

엑셀이 잘 정리해뒀답니다!

 

 스샷

이름

냉각능력

조건

 

순서로 정리해뒀어요.

 

1. 물 쿨러

20H/t

리엑터 케이싱 옆에 있어야 합니다.

 

2. 레드스톤 쿨러

80H/t

리엑터 셀 옆에 있어야 합니다.

 

3. 쿼츠 쿨러

80H/t

유효한 그라파이트 블럭 옆에 있어야 합니다.

그라파이트는 리엑터 셀 옆에 있어야 제대로 작동합니다.

 

4. 금 쿨러

120H/t

유효한 물 쿨러와 레드스톤 쿨러 옆에 있어야 합니다.

 

5. 글로스톤 쿨러

120H/t

유효한 그라파이트 2개옆에 있어야 합니다.

유효한 그라파이트 2개옆에 있어야 합니다.

 

6. 라피즈 쿨러

100H/t

리엑터 셀과 케이싱 옆에 있어야 합니다.

 

7. 다이아몬드 쿨러

120H/t

같은 면에 유효한 물 쿨러4개와 함께 있어야 하며

리엑터 셀 옆에 있어야 합니다.

 

8. 헬륨 쿨러

120H/t

유효한 쿼츠 쿨러와 리엑터 케이싱 옆에 있어야 합니다.

 

9. 엔더륨 쿨러

140H/t

리엑터 케이싱 3개 옆에 있어야 합니다.

사실상 모서리에 설치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10. 크라이오세움 쿨러

140H/t

리엑터 셀 2개 옆에 있어야 합니다.

 

11. 액티브 액체 쿨러

원본 쿨러의 2.5배, 2.8버전부터는 5배로 상향먹는다고 하네요.

조건은 원래 쿨러와 동일하며, 그 대신 액체를 지속적으로 소모합니다.

보통 한심하기 짝이 없는 물쿨러 대신 쓰겠지요.

다른 액체는 그 블럭까지 펌핑해주기 힘듭니다.

뉴크크에서 제공하는 무한물블럭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빈공간에 약간의 쿨링성능을 더 줄 수 있습니다.

 

이것과, 그라파이트를 이용하여 최대한의 효율을 뽑으며

가동시간이 긴- 분열로를 설계해보세요!

 

반응형

[SMRE 뉴크크 10분강좌] - 2편!

Posted by 엑셀서스
2018. 1. 14. 19:13 마크 공략/뉴크크 10분 강좌

자 2화 이어서 갑니다아앗

 

핵발전기에 우라늄조각이 들어가서 일단 우라늄 처리기,

이소토프 분리기부터 만들어야 합니다.

 

레시피는 간단하고, 전기와 제련한 우라늄잉곳을 넣으면

우라늄238(저 에너지 우라늄)과 우라늄235(고 에너지 우라늄)을 줍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핵분열로를 뽑아볼까요.

 

준비물은

 

Reactor Casing (규모에 맞게)

Reactor Cell (규모에 맞게)

Cooler (형편에 맞게 사용하십시오)

Fission Controller (1개)

Fission Reactor Port (최소 1개, 전력생산량에 따라 다름)

Graphite Block (효율 증폭용)

 

이때, 알아둬야 할건 산업 핵발과 달리 사이즈 제한이 별로 없어서

크면 클수록 효율적인 핵발전기가 됩니다.

 

자기 형편에 맞게 만드시면 됩니다.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리엑터 케이싱으로 면을 구성합니다.

 

사진처럼 끝부분은 놓을 필요가 없읍니다.

나중에 장식이나 하세요

 

그 내용물을 리엑터 셀, 그라파이트, 쿨러등으로 잘 채웁니다.

자세한 설계철학과 팁은 아마 다음 화에 나올겁니다.

 

마지막으로 뚜껑을 잘 덮습니다.

 

그리고 그 장식하라고 준 부분중 한곳은 피전 컨트롤러를 놔야해요.

 

이제 피전 컨트롤러를 우클하면 인터페이스가 뜹니다.

근데 이러면 전력을 못빼잖아

 

케이싱중 하나를 포트로 바꿔줍니다.

저길 통해 이제 전력을 뺄 수 있습니다.

전력 추출량이 포트당 128kRF/t이므로 더 강력한 리엑터는 더 많은 포트가 필요합니다.

 

이런식으로 포트 하나에 여러개씩 박아도 하나로 인식되어 128kRF/t입니다.

 

 

[안내방송] 10분 끝.


아 좀 ㅡ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