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FFS 공략] 1. MFFS 기초, Deriver, Capacitor, Projector

Posted by 엑셀서스
2013. 6. 3. 17:19 필자 목록/Excelsus_


본 강좌에선 MFFS_v3.0.2.124를 사용합니다.

MFFS는 HAYO한 방어모드입니다.

ICBM을 강력하게 카운터칠수 있지요.


이번 강좌에서는 DCP, Design Create Plan Deriver, Capacitor, Projector을 커버할거에요.

방어막을 치면 이렇게 멋진 헥사곤 벽이 생깁니다.

이러한 벽을 만들기 위해서는 3가지 기계가 필요합니다.

왼쪽부터 보면 

포트론 발전기(Coercion Deriver), 

포트론 중계자(Fortron Capacitor)와 

필드 프로젝터(Force Field Projector)입니다.


가동중일때는 파란색이 되며 가동중이 아닐때에는 빨간색이 되어 알아보기 쉽습니다.

열어보면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Frequency는 마치 테서락의 그것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단 제한거리가 있으므로 실질적으론 별로 쓸모가 없어요.

그냥 가까운 거리에서 여러개의 포트론 네트워크를 사용할때 필요합니다.


프로그레스 옆에는 가동중인지, 쉬는중인지 알려줍니다

화살표 옆에 버튼은 모드 선택버튼인데 누르면 두개의 모드 사이를 토글합니다.

Derive는 전기를 포트론으로 만드는걸 뜻하고 Integrate는 포트론을 전기로 만드는걸 뜻합니다.


제일 위의 레드스톤토치 버튼은 모두들 알다시피 가동모드를 뜻합니다.

아래 Fortron은 보유중인 포트론의 양을 알려주며


오른쪽에 업그레이드칸에는 속도업그레이드와 용량업그레이드, 두가지를 장착할수 있어요.

속도업그레이드는 화살표 옆에 라피즈 라줄리나 네더쿼츠를 넣었을때 엄청난 속도로 작업할수 있게 해줍니다.

속업 안하고 넣어도 20배 빨라지긴 해요.

용량업그레이드는 말 안해도 아시리라 믿습니다.

포트론 중계자입니다.

발전기에서 발전된 포트론을 받아서 나눠주는 역할을 해요.

프로젝터로 전기를 옮기는데 필수적이지요.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이라면 업그레이드와 주파수 옆에있는 모드설정버튼입니다.

업그레이드에는 발전기와 달리 속업, 용량업, 그리고 거리업(scale)이 가능합니다.


여기에서의 속업은 발전기와 다르게 라피즈같은것이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매우 유용하지요.


거리업은 전송거리를 늘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MFFS의 하이라이트인 프로젝터입니다.

왼쪽에는 방향이  상관없는 업그레이드를 놓는 곳이고 

오른쪽은 모양과 방향이 상관있는 업그레이드를 놓는 곳이에요.


가장 먼저 모양을 정합니다. 사각형이라던가, 피라미드라던가, 구라던가, 튜브라던가.

전 간단하게 사각형으로 했습니다. 가장 설정하기도 쉽고요.


그리고 각 방향에 얼마나 늘릴건지 설정할수 있어요.

혹은 translate로 위치를 옮길수도 있지요.


워낙 커스터마이징 할수 있는 것들이 많아 이 기계에 대한 공략은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다들 멋진 기지를 만들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사움크래프트 실전] 11. 아케인 레비에이터 사용법

Posted by 엑셀서스
2013. 6. 3. 15:50 필자 목록/Excelsus_

아케인 레비에이터!!!!!

이렇게 생겼어요.

위쪽은 어스색이 있고, 아래에는 에어색이 있으며

중간에는 비스색이 세겨져 있고 몸체는 나무로 만들어진것 같아요.


그럼 이걸 어떻게 써야  할까요?

그냥 간단하게 그 위로 올라 서시면 됩니다!

그러면 하늘로 부웅~ 하고 떠올라요.

올라가는 높이는 보시다시피 10칸입니다.

그렇다면 10칸 이상의 높이인 구조물에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걸까요?

간단합니다!

두개를 겹쳐 쌓으시면 되요.

그러면 올라가는 높이가 증가합니다!

건물이 높으면 높을수록 아케인 레이베이터를 늘리면 되는것이지요!


그러나 문제가 있지요.

올라갈때는 알겠는데 내려갈때는 어떻게 해야 하지요?

제 빌딩은 100층빌딩이라 그냥 떨어지면 죽을텐데...


걱정하지 마세요!

아케인 레비에이터를 제일 위에 설치하면 내려가는 속도를 감소시켜준답니다.

저렇게 에어색 아래는 전부 중력감소 효과를 받아요~

아. 물론 영향범위는 올라가는것과 동일하게 10칸입니다.

그러므로 똑같이 여러개를 쌓아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모두들 멋진 빌딩 완성하시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팅커스 컨스트럭트 공략] 5. 알루마이트 합금

Posted by 엑셀서스
2013. 5. 21. 00:58 마크 공략/팅커스 컨스트럭트


코발트나 아다이트 광석을 캐기 위해서는 다곡 이상의 경도를 가진 곡괭이가 필요하지요.

벤키서버에선 그냥 마법으로 캤었는데 방울서버에 오니깐 아스 매지카가 없더군요.


그럴때 필요한 것이 알루마이트 합금!

비율은 2.5:1:1 => 1.5

알루미늄이 2.5고 철과 옵시디언이 각각 1입니다.

그런데 각 물건이 얼만큼의 액체량을 가지는지 알아야겠지요.


일단 원석류는 0.288mB의 부피를 가집니다.

그리고 잉곳류는 0.144mB의 부피를 가지지요.

옵시디언은 알수없는 이유로 원석류로 분류되어 0.288mB의 부피를 가져요.

그러므로 위 사진과 같이, 혹은 그에 해당하도록 비율에 맞춰 배치하시고 녹이면 됩니다.

이중에 옵시디언이 제일 늦게 녹습니다. 기다리세요.

그러면 이렇게 HAYO한 알루마이트 액체가 되지요.

국민들이 알루마이트를 위해 싸우기 시작합니다. 퍼버버버벅

그럼 모두들 즐거운 팅컨~

반응형